우리나라에서 벤츠와 제네시스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걸까요?
20년 된 자동차의 엔진이 수명을 다해서 자동차를 사려고 알아보고 있습니다. 그중에 현대차와 기아 차아 눈에 띄었습니다. 요즘 주변 지인들 중에 벤츠를 사러 매장에 들렀다가 옵션이 좋은 제네시스를 사는 사람도 있고, 오히려 국산차와 가격이 같아서 벤츠를 사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 예전엔 무조건 '벤츠'였는데, 요즘은 현대차에도 그래도 비교해 보고 선택받을 옵션이 생겼구나." 물론 자동차는 워낙 호불호가 많은 부분이라서 갑론을박이 있을 거라 예상합니다. 그러나 자동차 브랜드와 하차감에 신경을 조금 쓰고, 자동차에 대해서 모르는
현대차의 24년 10월 27일 종가 235,500원, 현대차우 24년 10월 17일 종가 166,400원 입니다. 현대차의 시가총액 3.9조, EPS(주당 순이익) 50,379원, PER 4.9입니다. 시가 배당률은 23년 기준 10.9%였습니다.
저는 주식 공부를 제대로 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아래 공식 이해하는 것도 한 참 걸렸어요.
방정식을 오랜만에 하려니 햇갈리더라구요. PER는 '멀티플'이라는 말로도 불리는데요. 주식 고수님들은 이 종목에 '멀티플'을 얼마나 줄 거냐에 대한 자신만의 논리가 있으시더라고요. 저는 더 공부가 필요합니다.
EPS(주당 순이익) * PER (시가총액/순이익) = 주식가격
EPS = 순이익 / 발행 주식수PER = 시가총액 / 순이익 =(주식가격*발행 주식수) / 순이익
그런데 네이버 주식을 보면 아래에 'PER' 를 적어 놓았습니다. 이것은 어떤 기준인지는 모르겠지만 주린이인 저는 일단 이 PER를 기준으로 단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1. PER = 4.9 , EPS 50,379
2. 4.9 * 50,379 = 246,857원
3. 10/17 종가 235,500원
현대차의 PER를 4.9로 보았을때 적정 주가는 246,857원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 PER 4.9가 적정한지를 판단해야 할 텐데요, 동일업종의 PER이 4.19입니다. 동일업종 리스트를 보니 다른 기업들은 어떤 회사인지 잘 모르겠고, 현대차가 이 업계에서는 독보적인 것은 확실하니 평균보다 높은 PER을 갖는 것이 맞는 걸까요? 그리고 현대차의 PER이 21년 11.7에서 4.9까지 떨어지고(주가도 같이 떨어지고) 업계 평균에 수렴하고 있는 와중에 영업이익, 매출, 당기 순이익, 순이익률, 배당성향이 오르고 있으니 고평가 구간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장기적으로 보고 조금 매수를 해볼까 해요.
오늘
그런데 저는 주주권리는 필요 없으니 현대차 우를 어제보다 내려간 가격에 매수해보려고 합니다.
결론
- 24년 10월 17일 종가 기준 현대차 주가는 EPS * ROE를 곱해 나온 적정 주가보다 낮은 상황이다.
- 현대차 주식은 23.5만 원 이하로 내려오면 매수하자.
- 현대차우 주식은 16.5만 원 이하로 내려오면 매수하자.
*100% 혼자 주식 공부를 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한 글이에요. 그냥 '주린이가 애쓰네' 하고 봐주세요. :)
*혹시 조언해 주실 수 있는 내용이 있다면 아낌없는 댓글도 부탁드립니다! (비방, 무시는 상처받아요 ㅠㅠ)
'재테크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삼성증권 미국 주식 이벤트 24.8.1~12.31 매매수수료 3개월 무료, 환율 95% 우대 (0) | 2024.11.17 |
---|---|
[미국 주식] 유투브 성환김님의 영상 트럼프 대통령의 수혜주와 조심 해야할 주식 (8) | 2024.11.16 |
[배당주 공부] 수페 TV '고배당 우량주' 매수 기준과 종목 '나는 매당투자로 매일 스타벅스 커피를 공짜로 마신다.'의 AS 영상 (8) | 2024.11.12 |
[ASML 주가 급락] 기회 일까 위기의 신호 일까? (5) | 2024.10.17 |
댓글